본문 바로가기

마인드셋

직장 내 괴롭힘, 따돌림 등 갈등 해결 4단계 방법 우리나라는 세계 최고 수준의 '갈등 공화국'이다. 전국경제인연합회에서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30개국 회원국을 대상으로 '갈등지수'를 조사하였다. 한국의 갈등지수는 3위를 기록했다. 분야별로 보면 아주 심각한 수준임을 알 수 있다. 진보와 보수(87%), 부유층과 빈곤층(91%), 남성과 여성(80%), 젊은 세대와 기성세대(80%), 대졸자와 비대졸자(70%), 종교 간 갈등(78%) 등 인종간 갈등(67%)을 제외하고는 갈등 최고 수준이다. 사실 대한민국은 전 세계 유일한 분단국 가다. 이념갈등이 물리적인 분단의 원인이 되었다. 이런 갈등적 요소를 악용하는 사례도 있다. 사실 우리 사회의 갈등의 대부분은 정치계급이 갈등 요소를 권력 장악의 수단으로 활용한다는 지적이 많다. 생활 속 갈등 "인간관계.. 더보기
스트레스 테스트 결과.. 나도 혹시? 대한민국 OECD 회원국 중 자살률 1위 국가 오명 보건복지부에 따르면 2020년 우리나라 자살률은 인구 10만 명당 25.7명으로 OECE 평균 11명에 2배 이상을 상회한다. 주요 자살 원인은 10~30대는 정신건강 문제, 40~60대는 경제적 문제가 가장 큰 이유다. 특히나 60대 이상 노년층은 가장 자살률이 높다. 특히 코로나19 이후 경제상황 악화, 거리두기로 인한 생활 제약 등으로 우울증 증세 환자도 증가하고 있다. 대한민국은 가히 자살 공화국이라고 불리울만 하다. 자살 원인은 다양한 원인이 있으나 우울증과 같은 정신질환이 큰 비중을 차지한다. 한 연구에 따르면 국내 인구 중 약 4분의 1에 달하는 사람이 스트레스로 인한 신체질환을 호소하고 있다고 한다. 스트레스의 원인과 해소법을 자세히 알아.. 더보기
나의 직장 생활 만족도를 알아보자 나는 경제적 자유를 꿈꾸는 직장인이다. 나는 20년째 한 직장에서만 근무하고 있는 평범한 직장인이다. 매번 느끼는 것이지만 긴 연휴는 그다지 즐겁지 않다. 평소보다 가족과 친척, 여행지 등에서 많은 돈을 써야 될 뿐만 아니라, 어딜 가든 막히는 교통때문에 차안에서 보내야 되는 시간이 많기 때문이다. 특히나 연휴 막바지에 도달하면 회사갈 생각에 불안하고 걱정된다. 그 이유가 회사에서 보기 싫은 사람을 봐야 되는 것도 있지만, 산더미처럼 쌓여있는 하기 싫은 일들이 머리속에서 맴돌기 때문이다. 직장인은 돈과 시간의 노예라는 생각이 든다. 돈과 시간으로부터 자유로운 삶을 살고 싶은 욕망이 더 커진다. 돈과 시간으로부터 자유로워 지면 과연 무엇을 할 것인가? 고급 오마카세를 부담없이 예약할 수 있는가? 새벽시간에.. 더보기